졸업 후 학생들은 인간의 내면을 신체로 표현하는 기술을 향상하기 위한 실기와 이론을 창의적으로 배우는 교육과정을 통해 무용 지도자, 안무자, 무용수, 공연 기획자 및 무대 예술 전문가, 생활 건강 관리사 등으로 진출하고 있다.
무용과는 예술에 대한 대중의 욕구에 적합한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유아무용 자격증, 문화예술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교과목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다.
무용과는 지난 2011년부터 순수 무용(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과 실무 무용에 속하는 모든 장르의 무용을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는 교육을 시행했다. 따라서 본교 무용과에서는 모든 무용 장르의 기초 이론부터 기술 향상을 위한 전문 실기까지 단계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 위 교과과정은 현재년도 현재학기 기준입니다.
다른 연도의 교과과정 자료는 우측 [교과과정 전체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韓允熙 / Han. Yun-hee)
학사 | 중앙대학교 |
---|---|
석사 | 중앙대학교 |
박사 | 한양대학교 |
경력 |
|
(南秀晶 / Nam, Soo-jung)
학사 | 이화여자대학교 |
---|---|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
박사 | 단국대학교 |
경력 |
|
(李定姸 / Lee Jung Yeon)
학사 | 한양대학교 |
---|---|
박사 | 한양대학교 |
석사 | New York University |
경력 |
|
(盧正植 / ROH JUNG SIK)
학사 | 세종대학교 |
---|---|
석사 | 세종대학교 |
박사 | 세종대학교 |
경력 |
|
학수번호 | 310021A | 학점 | 3 |
---|---|---|---|
과목구분 | 기초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개론 | ||
설명 | 무용의 본질 구성요소와 특색, 공간예술, 시간예술, 인체예술, 무대예술로서의 기능 그리고 각 형식분야의 특질과 체제 등을 개괄적으로 다룬다. |
학수번호 | 310053E | 학점 | 3 |
---|---|---|---|
과목구분 | 기초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창작법 | ||
설명 | 움직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토대로 시간, 공간, 에너지에 대한 무대구성 요소들을 바르게 인식하여 무용작품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학수번호 | 310107E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한국무용기초초급 | ||
설명 | 무용 전공자를 위한 이론적 입문으로 무용의 본질적인 구성요소와 특징, 역사적 관점, 무용예술의 창작적 기능 등 무용학 전반의 개괄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
학수번호 | 310221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현대무용기초초급 | ||
설명 | 무용 전공자를 위한 이론적 입문으로 무용의 본질적인 구성요소와 특징, 역사적 관점, 무용예술의 창작적 기능 등 무용학 전반의 개괄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
학수번호 | 310103C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타악실기 | ||
설명 | 장고, 북, 소고, 꽹과리 등 주로 한국 민속 타악기의 타법과 기능을 훈련할 목적으로 개설된 교과목이다. |
학수번호 | 310111H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한국무용기초고급 | ||
설명 |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의 기본동작을 기본으로 신체의 조화로움과 좀 더 발전된 테크닉 표현을 위한 학습에 그 목표를 둔다. |
학수번호 | 310225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현대무용기초고급 | ||
설명 | 현대무용의 기본동작을 습득하고 보다 발전 된 무용기술력과 표현력을 학습한다. |
학수번호 | 310229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창의적안무구성법 | ||
설명 | 아이디어와 영감, 즉흥을 통해 동작을 창작해내는 전문적인 디벨로핑 프로세싱과 이를 시공간 상의 창의적 연출기법, 무용수의 위치, 동작의 배치, 오브제 사용 등의 상호유기적 관계로 고안함으로써 독창적 안무의 계획적 기반과 다양한 적용 사례를 습득한다. |
학수번호 | 310237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신체조절법 | ||
설명 | 무용 움직임의 기능향상을 위해 필라테스 운동의 원리를 도입하여 실행한다. 필라테스의 특성인 신체 조절 능력을 위해 근육의 지구력, 균형감각 향상, 유연성등을 연습을 거듭하여 전신근력 기능을 향상 시켜본다.위의 훈련으로 무용 움직임을 위한 섬세한 근육의 사용과 관절의 분절화로 움직임의 확장과 상해 예방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
학수번호 | 310023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교육론 | ||
설명 | 무용교육의 목적, 역할, 기능 등 전반적인 이론학습을 통해 전문적인 교육역량을 육성한다. |
학수번호 | 310025C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교육프로그램지도 | ||
설명 | 무용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에 대한 지식을 통해 교육활용에 대해 긍정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고, 무엇보다도 무용교육에 관심을 갖게 하며 사회에 나아가 각계각층 대상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
학수번호 | 310035G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주제별움직임표현 | ||
설명 | 무용표현력과 창작을 위한 기초적인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하고 상상력, 자극, 리듬, 매체 등 즉흥적으로 제시되는 주제에 따라 신체표현 방법론의 다양한 경험과 실습을 통해 창의적 표현력을 개발한다. |
학수번호 | 310115F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한국무용중급 | ||
설명 | 한국 전통무용의 다양한 레퍼토리 학습을 통해 복합적인 춤 기법과 유형을 습득함으로써 전문적인 한국춤 기술력과 표현력을 육성한다. |
학수번호 | 310121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작품분석 | ||
설명 | 무용의 유형별 특성과 시기별 흐름을 분석한다. 포스트모던적 작품의 성향은 산업화와 더불어 과거의 단순하고 획일적인 형식에서 벗어났고, 사회변화와 시대의 다양성에 영향을 받아서 소재와 주제면에서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이해하고 분석함으로서 사후 작품제작로서 앞서가는 아티스트를 양성 할 수 있다. |
학수번호 | 310231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예술기초 | ||
설명 | 무용의 예술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이론적 지식과 예술적 가치 향상을 위해 종합예술인 무용을 어떻게 재조명되는지를 분석하고 폭넓고 다양한 작품 구상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
학수번호 | 310349E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감상및비평 | ||
설명 | 한국무용과 외국무용의 대작과 소품을 충분히 익혀, 그 작품의 구성, 내용, 예술성을 이해하고 습득하게 하며 무용용어 및 무용작품의 평가 능력을 배양하고 19, 20세기의 무용 고전 작품을 필름과 기록을 통해 작품을 분석. 연구하여 평가 능력을 기르며, 안무 구성법, 무대장치, 의상, 작품소재 등을 통해 창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학수번호 | 310401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컨템포러리댄스초급 | ||
설명 | 초보자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기본적인 몸의 움직임을 배워보고, 새로운 움직임을 개발하여 자기만의 스타일을 창조하는 학습력을 기른다. |
학수번호 | 310023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교육론 | ||
설명 | 무용교육의 목적, 역할, 기능 등 전반적인 이론학습을 통해 전문적인 교육역량을 육성한다. |
학수번호 | 310025C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교육프로그램지도 | ||
설명 | 무용의 교육적 기능과 역할에 대한 지식을 통해 교육활용에 대해 긍정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고, 무엇보다도 무용교육에 관심을 갖게 하며 사회에 나아가 각계각층 대상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
학수번호 | 310035G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주제별움직임표현 | ||
설명 | 무용표현력과 창작을 위한 기초적인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하고 상상력, 자극, 리듬, 매체 등 즉흥적으로 제시되는 주제에 따라 신체표현 방법론의 다양한 경험과 실습을 통해 창의적 표현력을 개발한다. |
학수번호 | 310119F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한국무용심화 | ||
설명 | 한국 전통춤의 기법을 근간으로 한 현대적 한국춤 의 심화 기법 습득을 통해 자유로운 춤 기술력의 전문성을 기른다. |
학수번호 | 310121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작품분석 | ||
설명 | 무용의 유형별 특성과 시기별 흐름을 분석한다. 포스트모던적 작품의 성향은 산업화와 더불어 과거의 단순하고 획일적인 형식에서 벗어났고, 사회변화와 시대의 다양성에 영향을 받아서 소재와 주제면에서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이해하고 분석함으로서 사후 작품제작로서 앞서가는 아티스트를 양성 할 수 있다. |
학수번호 | 310231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예술기초 | ||
설명 | 무용의 예술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이론적 지식과 예술적 가치 향상을 위해 종합예술인 무용을 어떻게 재조명되는지를 분석하고 폭넓고 다양한 작품 구상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
학수번호 | 310333F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현대무용중급 | ||
설명 | 현대무용 기본 동작의 원리를 인식하게 하여 신체의 조정능력을 습득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신체 정렬을 목적으로 한다. |
학수번호 | 310349E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무용감상및비평 | ||
설명 | 한국무용과 외국무용의 대작과 소품을 충분히 익혀, 그 작품의 구성, 내용, 예술성을 이해하고 습득하게 하며 무용용어 및 무용작품의 평가 능력을 배양하고 19, 20세기의 무용 고전 작품을 필름과 기록을 통해 작품을 분석. 연구하여 평가 능력을 기르며, 안무 구성법, 무대장치, 의상, 작품소재 등을 통해 창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학수번호 | 310401A | 학점 | 2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2 |
전공학과(학부) | 무용과 | ||
교과목 | 컨템포러리댄스초급 | ||
설명 | 초보자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기본적인 몸의 움직임을 배워보고, 새로운 움직임을 개발하여 자기만의 스타일을 창조하는 학습력을 기른다. |
※ 교육과정년도를 선택하시면 연도별로 교과과정 검색이 가능합니다
이수구분 | 학년 | 학기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주간수업시수 | |
---|---|---|---|---|---|---|---|
이론 | 실습 | ||||||
기초전공 | 1 | 1 | 310021A | 무용개론 | 3 | 3 | 0 |
기초전공 | 1 | 1 | 310053E | 창작법 | 3 | 3 | 0 |
전공 | 1 | 1 | 310107E | 한국무용기초초급 | 2 | 0 | 2 |
전공 | 1 | 1 | 310221A | 현대무용기초초급 | 2 | 0 | 2 |
전공 | 2 | 1 | 310103C | 타악실기 | 2 | 0 | 2 |
전공 | 2 | 1 | 310111H | 한국무용기초고급 | 2 | 0 | 2 |
전공 | 2 | 1 | 310225A | 현대무용기초고급 | 2 | 0 | 2 |
전공 | 2 | 1 | 310229A | 창의적안무구성법 | 2 | 2 | 0 |
전공 | 2 | 1 | 310237A | 신체조절법 | 2 | 0 | 2 |
전공 | 3 | 1 | 310023A | 무용교육론 | 2 | 2 | 0 |
전공 | 3 | 1 | 310025C | 무용교육프로그램지도 | 2 | 0 | 2 |
전공 | 3 | 1 | 310035G | 주제별움직임표현 | 2 | 0 | 2 |
전공 | 3 | 1 | 310115F | 한국무용중급 | 2 | 0 | 2 |
전공 | 3 | 1 | 310121A | 무용작품분석 | 2 | 2 | 0 |
전공 | 3 | 1 | 310231A | 무용예술기초 | 2 | 2 | 0 |
전공 | 3 | 1 | 310349E | 무용감상및비평 | 2 | 2 | 0 |
전공 | 3 | 1 | 310401A | 컨템포러리댄스초급 | 2 | 0 | 2 |
전공 | 4 | 1 | 310023A | 무용교육론 | 2 | 2 | 0 |
전공 | 4 | 1 | 310025C | 무용교육프로그램지도 | 2 | 0 | 2 |
전공 | 4 | 1 | 310035G | 주제별움직임표현 | 2 | 0 | 2 |
전공 | 4 | 1 | 310119F | 한국무용심화 | 2 | 0 | 2 |
전공 | 4 | 1 | 310121A | 무용작품분석 | 2 | 2 | 0 |
전공 | 4 | 1 | 310231A | 무용예술기초 | 2 | 2 | 0 |
전공 | 4 | 1 | 310333F | 현대무용중급 | 2 | 0 | 2 |
전공 | 4 | 1 | 310349E | 무용감상및비평 | 2 | 2 | 0 |
전공 | 4 | 1 | 310401A | 컨템포러리댄스초급 | 2 | 0 | 2 |
용인대학교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수집 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용인대학교 홈페이지에 게재된 모든 내용은 저작권법에 의해서 보호됨을 알려드립니다.
인터넷 증명 발급 센터에서 발급절차에 따라 신청한 후 개인 프린터로 출력
학부생, 대학원생, 학점은행제(졸업생), 시간강사
발급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재학생 및 졸업생은 가까운 동사무소의 FAX 민원이나 본교를 방문하여 증명서를 발급 받으시기 바랍니다.
구분 | 증명서 | 제증명수수료 | 대행수수료 | ||
---|---|---|---|---|---|
학부 | 재적생 (재학생+휴학생) |
국문 | 학적증명서 성적증명서 |
500원 | 1통당 1,000원 추가시 1통당 500원 |
재학(휴학)증명서 수료증명서 졸업예정증명서 장학금(비)수혜증명서 교육비납입증명서 |
300원 | ||||
영문 | 모든 증명서 | 500원 | |||
졸업(제적)생 | 국문/영문 | 모든 증명서 | 1,000원 | ||
대학원 | 국문/영문 | 모든 증명서 | 500원 | ||
학점은행제(졸업생) | 국문 | 학위증명서, 성적증명서 | 1,000원 | ||
시간강사 | 국문/영문 | 시간강사경력증명서 | 100원 |
신용카드, 핸드폰 소액결제
㈜ 디지털존 (1644-2378)
용인대학교 학사관리과 (031-8020-2514~5)
용인대학교 학점은행제 (031-8020-34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