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조리학부는 식생활 이론을 바탕으로 인류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식품영양 전문인과 국제화 시대에 요구되는 호텔 외식업계 업무를 선도할 수 있는 외식조리 전문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식품조리학부에서는 21세기 세계지구촌화 시대요구에 부응하는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영양사, 영양 교사, 조리사 식품제조가공기사, 위생사 등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식품영양 : 병원 및 산업체 영양사, 학교 영양교사, 위생사, 식품기사 등 식품 영양 분야의 전문인력으로 취업 외식조리 : 특급호텔의 쉐프, 양식 및 한식, 동남아식 등 외식 창업, 식품사 메뉴 개발자, 식품제조가공기사, Food Stylist, Menu Consultant, Food Journalist, Bakery & Cafe 창업 등 취업 및 창업
영양사,위생사,영양교사,임상영양사,식품 기사,조리기능사,식품산업기사,보건교육사,가정복지사, 영양상담사,다이어트프로그래머,농산물품질관리사,유통관리사 등의 면허 및 자격증을 취득 교육과정을 운영
공통 혹은 선택적으로 기초영양학, 고급영양학, 생애주기 영양학, 식사요법, 영양교육 및 상담 등을 학습하고, 한국조리 외국조리, 조리원리 실험조리 및 식품평가, 식품학, 식품분석실험,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식품 가공 및 저장학 실험, 등을 학습한다. 급식 및 위생 분야의 단체급식 관리, 급식 경영 및 마케팅 전략, 식생활 관리 등의 과목을 학습한다.
※ 위 교과과정은 현재년도 현재학기 기준입니다.
다른 연도의 교과과정 자료는 [교과과정 전체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李明鎬 / Lee Myung Ho)
학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
석사 |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
박사 | 세종대학교일반대학원 |
경력 |
|
(李炳雨 / Lee Byung Woo)
학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
석사 | 경희대학교경영대학원 |
박사 | 경희대학교대학원 |
경력 |
|
(金惠英 / Kim, Hye-Young)
학사 | 이화여자대학교 |
---|---|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
박사 | 미) 일리노이대학교 |
경력 |
|
(金憓英 / Kim, Hae Young)
학사 | 이화여자대학교 |
---|---|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
박사 | 미) 켄사스주립대학교 |
경력 |
|
(金剛城 / Kim, Kang-sung)
학사 | 서울대학교 |
---|---|
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력 |
|
(崔裕眞 / Eugene Lee Choi)
박사 | 한양대학교대학원 |
---|---|
학사 |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석사 | 한양대학교대학원 |
경력 |
|
(李昇財 / Lee Seungjae)
학사 | 이화여자대학교 |
---|---|
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
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
경력 |
|
학수번호 | 500003J | 학점 | 3 |
---|---|---|---|
과목구분 | 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식품조리학부 | ||
교과목 | 기초일반화학 | ||
설명 | 기초일반화학은 일반화학에서 습득한 기본지식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함으로써 산지식으로 만들도록 돕는다. 화학의의 기본원리를 실험을 통해 이해하고 아울러 실험의 기초적인 방법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학수번호 | 530063A | 학점 | 3 |
---|---|---|---|
과목구분 | 기초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식품조리학부 | ||
교과목 | 외식경영론 | ||
설명 | 외식산업의 개념, 특성, 분류, 외식시장 현황을 알아본다. 성공적인 외식산업으로의 진입과 이해에 필요한 기본적인 경영전략, 인적자원관리, 마케팅 전략과 더불어 글로벌 경쟁력을 필요 요소 및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본다. |
학수번호 | 530029A | 학점 | 3 |
---|---|---|---|
과목구분 | 기초전공 | 사수 | 0 |
전공학과(학부) | 식품조리학부 | ||
교과목 | 식품학 | ||
설명 | 영양소를 함유한 식품이 지니고 있는 특성, 즉 일반성분과 특수성분의 이화학적 성질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케 하고, 식품재료의 조성, 식품의 생산·저장 등의 개론적인 부분을 다룬다. |
※ 교육과정년도를 선택하시면 연도별로 교과과정 검색이 가능합니다
이수구분 | 학년 | 학기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주간수업시수 | |
---|---|---|---|---|---|---|---|
이론 | 실습 | ||||||
전공 | 1 | 1 | 500003J | 기초일반화학 | 3 | 3 | 0 |
기초전공 | 1 | 1 | 530063A | 외식경영론 | 3 | 3 | 0 |
기초전공 | 1 | 1 | 530029A | 식품학 | 3 | 3 | 0 |
용인대학교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자동수집 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용인대학교 홈페이지에 게재된 모든 내용은 저작권법에 의해서 보호됨을 알려드립니다.